2025/01 4

悲慾(비욕) - 30

30. 봉합시도 2  허 회장은 마음에 상처를 많이 입었다. 자기 나름대로 종업원들에게 상당히 잘해왔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종업원들의 눈빛이나 태도에 큰 충격을 받았다. 최근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많은 직원들을 구조조정시키고, 그로 인해 남아있는 직원들의  업무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그동안 직원들의 복지를 위해 애써온 것을 생각하니 분노가 앞서지 않을 수 없었다. 일반 중소기업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대학교까지 직원 자녀 학자금 지급, 직원 결혼시 임대주택 제공, 격지 근무자나 미혼인 직원들에게 기숙사 제공, 철마다 양질의 근무복 지급 등 직원들을 위한 각종 복지혜택에 힘써 온 것들을 생각하니 배신감이 들었다. 무엇보다 직원들의 급여가 비슷한 업종의 다른 중소기업들에 비해서는 약 1.5배 수준이다...

장편소설 2025.01.24

초서(草書)에 대하여 (하)

초서를 문학으로 비유하면 시(詩)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한다. 짧은 문장으로 많은 것을 함축하여 표현하는 시처럼 초서도 간결한 획으로 여러 글자를 표현한다. 시의 경우 수필이나 소설과 다르게 정제된 함축과 간결함 속에서 노래나 그림으로 표현이 되듯이 초서도 비슷하다. 그런 이유로 초서가 한시(漢詩)를 만났을 때의 미적 가치는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함축된 언어인 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듯이, 초서도 점획이 생략되어 절제된 감성적 성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체에 비하여 어렵다. 글자란 당연히 남이 쓴 것을 흉내 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왜 이렇게 쓰는 것인지 알고 쓰는 것이기 때문이다.  취운 진학종 선생은 우리나라 초서의 대가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말하길 “서체 중에서 초서가 가장 어렵다, 그만큼..

나의 이야기 2025.01.18

초서(草書)에 대하여 (중)

上(상)편에 이어 中(중)편을 계속 이어 쓴다.상편 말미에 잠깐 언급을 하였지만, 전문적인 용어가 나오는 글은 자칫 너무 딱딱하여 읽는 재미를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래서 초서라는 글씨처럼 유연성을 가미하여 쓰고자 하는데, 초서 역시 서체의 하나인 탓으로 쉽지는 않을 것 같다.상편에서 서술한 장초와 금초에 이어 광초와 관련된 것부터 시작한다.   광초는 당 장욱에서 비롯된 것으로 위진시대 이래 왕희지의 전통적인 초서필법에서 벗어나 술이나 자연계의 현상으로부터 정서나 영감을 불러일으켜 광사(狂肆)하게 썼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이후 당 회소(懷素)가 개성적인 광초서풍을 이루었다. 광초의 대표적인 예로는 장욱의 "자언첩 (自言帖)"과 회소의 "자서첩 (自敍帖)"이 있다. 초서를 말할 때 자주 언급되는..

나의 이야기 2025.01.09

초서(草書)에 대하여 (상)

나는 요즘 草書(초서)에 빠져있다. 내가 초서를 쓰기 시작한 지는 얼마 되지 않지만 그 매력에 흠뻑 젖어 있다. 처음 서예를 시작할 때, 당시 강사가 楷書(해서)부터 배워야 된다고 하여 줄 긋기 등의 입문절차를 걸친 후 약 4년 이상을 해서만 썼었다. 楷書의 楷자는 본보기나 모범, 바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표준으로 삼을만한 서체라는 의미에서 대개 많은 이들이 해서, 행서, 초서, 전서, 예서의 5체 중 가장 먼저 배우기 시작한다. 시중에 나와있는 해서와 관련된 책도 수십 가지가 넘는데, 나는 육조체로 해서를 익혔다. 육조체는 날카롭고 힘이 있다. 육조체는 唐楷(당해 : 중국 당대의 해서)가 아름답고 여성스러움에 반하여 씩씩하고 굳세어 남성스럽다고 한다. 나는 그중에서도 張猛龍碑(장맹룡비)로..

나의 이야기 2025.01.05